ebook img

Woo- Transforming Colonial Mission : Toward Postcolonial Contrapuntal Preaching PDF

2020·1.7 MB·Korean
Save to my drive
Quick download
Download
Most books are stored in the elastic cloud where traffic is expensive. For this reason, we have a limit on daily download.

Preview Woo- Transforming Colonial Mission : Toward Postcolonial Contrapuntal Preaching

TRANSFORMING COLONIAL MISSION: TOWARD POSTCOLONIAL CONTRAPUNTAL PREACHING A Practical Research Project presented to the Faculty of Claremont School of Theology In Partial Fulfillment of the Requirements for the Degree Doctor of Ministry by Sang Won Woo May 2020 Copyright © 2020 by Sang Won Woo This Practical Research Project completed by Sang Won Woo has been presented to and accepted by the Faculty of the Claremont School of Theology in partial fulfillment of the requirements of the degree Doctor of Ministry Faculty Committee HyeRan Kim-Cragg, Chairperson Namjoong Kim Dean of the Faculty Sheryl A. Kujawa-Holbrook May 2020 ABSTRACT TRANSFORMING COLONIAL MISSION: TOWARD POSTCOLONIAL CONTRAPUNTAL PREACHING by Sang Won Woo This study reflects critically on the conflicts and problems I experienced as a missionary in Mongolia from the perspective of postcolonial discourse. Further, it indicates ways to establish and empower local Mongolian church members to be agents of change for the Mongolian church and mission. Using a qualitative research method, I conducted in-depth interviews with the members of Mongolian mission churches. I then reviewed and analyzed the results of the qualitative inquiry from the postcolonial point of view, and highlighted the fundamental issues through the perspective of “contrapuntal reading.” Through this work, I present a direction for postcolonial mission, suggest ways to heal the conflicts of the mission field, and examine how local people and missionaries can be co- workers of God’s mission (Missio Dei), successfully performing missionary work together. KEYWORDS: Postcolonial Mission, Contrapuntal Reading, Empowerment, the Preaching of Writing-back, Kenosis Mission 국문 초록 식민주의적 선교의 변화: 탈식민주의 대위법적 설교에 대하여 by Sang Won Woo 이 연구는 내가 선교사로 현지인 교회를 목회하게 되면서 겪게 된 갈등과 고민이 동기가 되어, 탈식민주의 담론이 지향하는 바를 따라서 몽골 선교에서 드러난 문제점들을 비판적으로 성찰하고 어떻게 하면 몽골 현지 교인들이 주변인이 아닌 몽골 교회와 선교를 위한 변화의 주체자가 될 수 있을지 임파워먼트(empowerment) 방안을 모색해 보고자 시작되었다. 연구의 방법으로는 질적 연구의 방법이 활용되었고 연구 참여자에 대한 심층 면담을 진행하였다. 질적 연구의 결과를 탈식민주의적 관점으로 분석하고 고찰하여 범주를 도출하였으며, 한국 교회와 선교사의 근본적인 문제점들을 ‘대위법적 읽기’의 관점으로 조명하고, 되받아쓰기 설교를 제안하였다. 이를 통하여 탈식민주의적 선교의 방향성을 제시하고, 어떻게 하면 선교지의 갈등이 치유되고, 현지인과 선교사가 하나님의 선교(Missio Dei)의 동역자가 되어 모두가 행복하고 평등한 선교 현장이 될 수 있을지 그 대안을 모색하였다. 키워드: 탈식민주의적 선교, 대위법적 읽기, 임파워먼트, 되받아쓰기 설교, 내버려두는 선교 SUMMARY Since the 2000s, Korean missions have made rapid progress. The Korea World Missions Association reported that by 2017 there were 27,436 Korean missionaries working in 170 countries. However, these robust numbers do not provide adequate basis for interpreting Korean missions abroad as successful. In fact, considering that there was no increase in the number of Korean missionaries during 2016-2017, Korean churches must reflect on the quality of their worldwide missions. Since 2000, Korean churches have been passionate about quantitative growth, sending out missionaries as if they were competing among denominations. As a result, many of the problems and conflicts found in Korean churches were exported to the world missions. The reality is that the Korean church has been at the forefront of today’s mission to the developed world with its Christian hegemonism and chauvinism; Korea considers itself to be carrying the so-called missionary power of civilized mission on its back. This project began with a set of question that I, as a Mongolian missionary, asked myself when I realized that I failed to accept locals as true friends and co-workers: “Did I attempt to become real friends with the Mongolians?”; “Why did I not share with the locals what I shared with the missionaries?”; “Why do I think of Mongolians as just objects to love, not subjects to trust?” Guided by these questions, I examined the fundamental cause of the conflict between locals and missionaries in the area of the mission. For this study, I used qualitative inquiry methods to examine truths that could never be revealed by quantitative inquiry or statistical analysis. In addition, I conducted interviews based on the basic tenets of postcolonial discourse: that one should listen to and care about the voices of minorities. i I conducted interviews with five Mongolian members who speak Korean and five Mongolian members who do not speak Korean. Mongolian church members who were studying in or visiting Korea were interviewed in person, while those who remained in Mongolia were interviewed by telephone. I studied the qualitative interviews using Colaizzi’s phenomenological analysis. The results of the qualitative inquiry showed that the locals expected the missionaries to be merciful. Unfortunately, it also revealed that, in their view, the missionaries were too coercive and ignored the local culture. It was my primary goal in this project to identify the fundamental problems by interpreting the irony inherent in the local’s dependence on and conflicts with the missionaries, from the point of view of postcolonial discourse. These conflicts are the result of Korean missionaries’ internalized orientalism. The missionaries’ evident longing to assimilate locals to Korean cultural norms provided the foundation for my in-depth study of orientalism. I propose “to reread the mission” through postcolonialism, privileging qualitative, not quantitative growth, that will result in balanced and healthy missions. Analyzing the qualitative inquiry from the perspective of contrapuntal reading, I also found a need for missionaries to empower and respect Mongolian culture and identity. Above all, the voices found in the interviews indicate the need for Mongolian-speaking pastors. It is necessary for missionaries to go beyond proficiency in the Mongolian language (or culture); they must deeply understand Mongolia so that they can empathize with the locals. I conclude that the practical theology of Mongolian missionaries must be informed by the perspective, expressed in the discourse of postcolonial missions, that the agency of language is of paramount importance. ii Postcolonial theology should be a discourse accompanied by practice so that the words proclaimed by Korean pastors guide the practice of empowerment in the field of mission. Interviews with participants revealed the contents of the sermons that participants had heard from Korean pastors and missionaries. I critically reflected on them using the lens of postcolonial theory, noting the unilateral and colonial nature of the preaching. What I suggest as a practical alternative is postcolonial contrapuntal preaching, a way of “writing-back” to colonial preaching and discourse. It is my hope that this change in the sermons will make church members feel empowered by the missionaries. As a conclusion to this project, I make the following three suggestions to move missions beyond a colonial strategy and towards an empowerment strategy. The three suggestions are 1) to interpret the Bible as “counterpoint reading,” 2) teaching the Bible as a way of “writing back” to colonial power structures, and 3) making the mission place a “doing mission” through kenosis. Thus, pastors should not see themselves as the “authors” of a one-sided, unilateral ministry but as co-workers with locals, equal partners in God’s mission of healing, restoration, and transformation, ministry partners for the kingdom of God. I hope that my Doctor of Ministry project will contribute to Korean missions as well as to all missionaries who are called to the Missio Dei in this age. iii 국문 요약 2000년대 이후로 한국 선교는 급속한 발전을 이루어 왔다. 한국 세계선교협의회에서 지난 2017년까지 한국 선교사 파송 현황 통계를 조사한 결과 170개국에 27,436명의 한국 선교사가 파송 된 것으로 집계 되었다. 그러나 단순히 선교사 파송 인원의 증감의 통계조사로는 한국 선교의 다양한 면을 읽어내는 기초자료가 되기에 충분하지 않다는 생각을 하게 되었다. 더욱이 2016-2017년에 선교사 수의 증가가 ‘0’으로 나타난 결과는 한국 교회에 많은 생각할 거리를 던져주고 있다고 느낀다. 2000년 이후에 한국 개신교회는 각 교단 간에 마치 경쟁 하듯이 양적 성장과 선교사 파송에 열정을 보여왔다. 그로 인해 많은 부작용과 갈등이 한국 교회 뿐만 아니라 해외 선교지에서도 나타나게 되었다. 소위 선교 대국 혹은 선교 강국이라는 이름을 등에 업고 기독교 패권주의 및 우월주의적 자세로 오늘날 문명 선교에 한국 교회가 앞장서 왔던 것이 현실이다. 이 프로젝트는 그러한 문제 의식을 갖기 시작한 내가 몽골 선교사로 현지인들을 진정한 친구와 동역자로 받아들이지 못했던 자신의 모습을 발견하고 던진 질문으로부터 시작되었다. “나는 과연 몽골 사람들과 진정한 친구의 관계를 가졌는가?”, “나는 선교사들끼리는 공유할 수 있는 대화의 내용을 왜 몽골 교인들과는 나누지 못했던 것일까?”,“몽골인들은 사랑해야 할 대상이지 신뢰해야 할 대상은 아니라고 생각했던 근본적인 이유가 무엇일까?” 이러한 질문으로부터 나는 선교지에서 발생된 현지인과 선교사의 갈등의 근본적인 원인을 살펴보게 되었다. 이 연구를 위해 나는 양적 연구나 수적인 통계로서는 결코 밝혀내기 어려운 진실을 살펴보기 위해서 질적 연구방법을 활용하여 프로젝트를 수행하였다. 아울러 소수자의 목소리에 귀 기울고 관심을 갖는 탈식민주의 담론을 기본적 이론의 바탕으로 삼아 인터뷰를 진행하고 한국 선교가 지향해야 할 올바른 방향성을 제시하였다. iv 인터뷰는 한국어가 가능한 몽골 교인 5명과 한국어 구사 능력이 없는 몽골 교인 5 명을 대상으로 진행하였다. 또한 몽골 현지에 거주하고 있는 교인들을 대상으로는 전화 인터뷰로 한국에 유학 중에 있거나 한국을 방문한 교인들을 대상으로는 직접 대면으로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질적 연구 인터뷰의 분석은 콜라이지 현상학적 분석을 따랐다. 질적 연구 결과를 살펴보면 현지인들은 의외로 한국에 대한 막연한 동경심과 베푸는 선교에 대한 기대감이 있었다. 반면, 지나치게 강압적이고 현지 문화를 무시하는 선교사의 태도에 대한 불편한 시선도 동시에 드러내었다. 이와 같이 선교사에 대한 의존성과 은연중에 나타나는 갈등의 모습을 동시에 표출하는 아이러니한 상황을 탈식민주의 담론의 관점으로 해석하여 근본적인 원인을 파악하는 것이 본 프로젝트의 1차적인 목표였다. 이어서 논지와 관련된 이론적 검토에서는 한국 선교사들의 내면화된 오리엔탈리즘에 대한 성찰을 하였다. 그리고 선교사에게 영향을 받은 현지인들에게 나타나는 한국 문화에 대한 동경 역시 오리엔탈리즘의 연장으로 해석하게 되었다. 그렇기 때문에 나는 양적 성장을 넘어 균형 잡힌 건강한 선교를 지향하기 위해서 탈식민주의를 통한 선교 다시 읽기를 제안하였다. 그리고 탈식민주의적 선교 실천을 위한 번역 ‘되받아쓰기’를 통해서 선교지에 대한 임파워먼트 실천적 방안을 이론적으로 검토해 보았다. 현상학적 질적 연구의 결과를 대위법적 읽기 방식으로 해석하여 도출한 범주 가운데 하나는 몽골의 문화와 그들에 대한 주체성을 존중하는 임파워먼트의 필요성이었다. 무엇보다 현지 교인들의 인터뷰에서 알 수 있었던 목소리 가운데 하나는 몽골어를 잘 아는 목회자의 필요성이다. 그것은 단순히 몽골어의 구사 수준을 넘어서 몽골을 이해하고 현지인들에 대한 공감 능력이 바탕이 되는 것을 포함하는 필요성이다. 여기서 나는 언어의 주체성(agency)을 통한 탈식민주의 선교 실천 신학이 드러났다고 본다. 탈식민주의 신학은 실천을 반드시 동반하는 담론이다. 논의 및 제언에서는 선교지에 대한 임파워먼트 실천적 방안으로 선교사(한국인 사역자)를 통해 선포되어지는 말씀에 v

See more

The list of books you might like

Most books are stored in the elastic cloud where traffic is expensive. For this reason, we have a limit on daily download.